(+)분류 : 가져온 문서/진보위키
Underdogma
미국의 우파단체 티파티 회원인 마이클 프렐이 창시한 단어.
1. 정의 ✎ ⊖
마이클 프렐은 강자보다 약자에 더 동정심이 있고 이로 인해 강자를 절대악으로 약자를 절대선으로 간주하는 사고를 언더도그마라고 칭했다. 그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를 예시로 좌파들이 이스라엘보다 더 보수적인 팔레스타인 편을 드는 것을 모순이라고 주장했고 이는 좌파들이 이스라엘을 억압하는 강자로 생각하고 팔레스타인을 핍박받는 약자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2. 개요 ✎ ⊖
언더도그마는 인간이 갖고 있는 공감 능력 중 하나이며 선량하고 정의로운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갈굼 당하고 핍박받는 것을 조롱하거나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편을 들고 가해자를 지탄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논리실증주의에 의한 판단이 아니라 공감 능력에 의한 판단이기 때문에 사건에 대한 뒷배경이나 근본적인 원인을 보지 못하게 된다.
특히 마르크스주의가 이런 오류가 있는데 마르크스는 계급 투쟁을 설명할 때 지배층과 피지배층 간에 싸움에서 불의한 지배층과 정의로운 피지배층을 설정해버렸기 때문이다. 좌파가 모두 마르크스주의를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주류 좌파의 사상이 마르크스주의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1) 아나키즘은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지만 권위를 반대한다는 점에서 권위를 내세우는 지배층에 적대적이기 때문에 언더도그마 심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SJW는 이런 심리가 매우 심하다.
특히 마르크스주의가 이런 오류가 있는데 마르크스는 계급 투쟁을 설명할 때 지배층과 피지배층 간에 싸움에서 불의한 지배층과 정의로운 피지배층을 설정해버렸기 때문이다. 좌파가 모두 마르크스주의를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주류 좌파의 사상이 마르크스주의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1) 아나키즘은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지만 권위를 반대한다는 점에서 권위를 내세우는 지배층에 적대적이기 때문에 언더도그마 심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SJW는 이런 심리가 매우 심하다.
3. 우파에 의한 악용 ✎ ⊖
마이클 프렐이 이 단어를 창시한 이유는 학술적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정치적 목적이었는데 좌파는 언더도그마라는 감정에 빠져 어리석은 짓만 골라서 하지만 우파는 이를 절제한 이성적인 집단이라는 레퍼 토릭을 퍼트리기 위해서이다.
일부 우파 세력은 사회적 약자를 핍박하고선 이를 무마하거나 2차 가해를 자행하고 있는데 그가 창시한 언더도그마라는 개념은 "사회적 약자라고 무조건 선한 게 아니잖아. 사회적 강자도 선량한 언행을 한다. 그러므로 일단 억압적 질서가 필요하다."를 정당화하는데 악용하고 있다. 또한 "빈민들은 핍박받는 약자의 위치라고 착한 게 아니고 대기업과 정부가 강자라고 해서 항상 나쁜 게 아니잖아."식의 레퍼 토릭을 전파하여 지배층의 지배 행위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개인적 문제로 왜곡하거나 이미 밝혀진 지배층의 부정부패를 무마하려는 하는데 악용하고 있다.
일부 우파 세력은 사회적 약자를 핍박하고선 이를 무마하거나 2차 가해를 자행하고 있는데 그가 창시한 언더도그마라는 개념은 "사회적 약자라고 무조건 선한 게 아니잖아. 사회적 강자도 선량한 언행을 한다. 그러므로 일단 억압적 질서가 필요하다."를 정당화하는데 악용하고 있다. 또한 "빈민들은 핍박받는 약자의 위치라고 착한 게 아니고 대기업과 정부가 강자라고 해서 항상 나쁜 게 아니잖아."식의 레퍼 토릭을 전파하여 지배층의 지배 행위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개인적 문제로 왜곡하거나 이미 밝혀진 지배층의 부정부패를 무마하려는 하는데 악용하고 있다.
4. 좌파의 대응 ✎ ⊖
안타깝게도 마이클 프렐이 이 개념을 창시한 지가 2018년을 기준으로 벌써 10년이 돼가고 있지만 그다지 반응이 없다.
대안 우파가 대두되기 전에 창시된 것이지만 대안 우파 패러다임의 바탕이 되는 개념이다. 언더도그마에 대해 제대로 반박하는 대신 인정투쟁에 치우친 결과 과학 이론과 논리적 언변을 내세우는 대안 우파가 세력을 키울 수가 있게 되었다. 대안 우파는 언더도그마 개념을 내세워 좌파를 비난하거나 매도하기도 한다.
대안 우파가 대두되기 전에 창시된 것이지만 대안 우파 패러다임의 바탕이 되는 개념이다. 언더도그마에 대해 제대로 반박하는 대신 인정투쟁에 치우친 결과 과학 이론과 논리적 언변을 내세우는 대안 우파가 세력을 키울 수가 있게 되었다. 대안 우파는 언더도그마 개념을 내세워 좌파를 비난하거나 매도하기도 한다.
5. 결론 ✎ ⊖
언더도그마를 사악한 것으로 간주하고 좌파를 공격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나, 인간이라면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갖는 것이 오히려 정상이다. 또한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여 이성적인 판단을 하자고 제안하는 사람도 있다. 가령 사회적 약자를 사칭해 부당이익을 챙기는 사기꾼을 걸러내고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집단의 극단적인 언행을 막는다든가 하는 것이다.
6. 영상 ✎ ⊖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보위키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스탈린주의, 트로츠키주의, 레닌주의를 반대한 의회 공산주의도 마르크스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