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합집합 공리

최근 수정 시각 : 2023-06-05 23:17:56 | 조회수 : 49

집합론의 공리 중 하나로, 임의의 집합족의 합집합이 존재한다는 내용의 공리이다.

목차

1. 형식적 진술
2. 독립성
3. 참고 문헌

1. 형식적 진술

합집합 공리는 다음과 같이 서술될 수 있다.
\\forall X \\exists x \\forall a : (a\\in x \\leftrightarrow \\exists A: a\\in A \\land A\\in X)

위 명제는 \\bigcup X=xx의 존재성을 주장하고 있다.

2. 독립성

H_\\kappax의 추이적 폐포의 농도가 \\kappa보다 작은 집합들의 집합이라 하자. 이 때 H_{\\beth_\\omega}는 합집합 공리를 제외한 나머지 ZF의 공리를 만족시키는 모형이 된다.

3. 참고 문헌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메가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