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오메가
군 동형사상(Group isomorphism)이란 두 군간의 군 구조를 완벽히 보존하는 사상을 가리킨다. 두 군간의 동형사상이 존재한다면 두 군은 군론적으로는 구분될 수 없으며, 따라서 두 군을 완벽히 같다고 간주할 수 있다.
1. 정의 ✎ ⊖
군 G,H 사이의 군 준동형사상 f가 군 동형사상이란 것은 f가 G에서 H로 가는 전단사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좀 더 형식적으로 말하자면, 다음 둘을 충족시키는 함수를 말한다:
1. f는 군 준동형사상이다. 즉, f(xy)=f(x)f(y)를 만족한다.
2. f는 전단사이다.
이 두 가지를 만족할 때 f를 동형사상(isomorphism)이라고 하고 G와 H를 동형(isomorphic)이라고 하며 이를 G≅H로 나타낸다.
1. f는 군 준동형사상이다. 즉, f(xy)=f(x)f(y)를 만족한다.
2. f는 전단사이다.
이 두 가지를 만족할 때 f를 동형사상(isomorphism)이라고 하고 G와 H를 동형(isomorphic)이라고 하며 이를 G≅H로 나타낸다.
2. 성질 ✎ ⊖
- 군 G의 항등사상 1G:G→G은 (자기)동형사상이다.
- f:G→H가 동형사상이면 f^{-1}도 동형사상이다.
- f^{-1}(a)=a',f^{-1}(b)=b' (a,b∈G)라 하면 f(a'⋅b')=a'⋅b' 이므로 f^{-1}은 동형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