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

최근 수정 시각 : 2023-05-06 00:58:05 | 조회수 : 23

醱酵 / fermentation

해당과정(解糖過程)에서 나온 전자들을 유기물에 전달하는 과정이다.

목차

1. 종류
1.1. 젖산 발효
1.2. 에탄올 발효
1.3. 아세트산 발효
2. 영상

1. 종류

1.1. 젖산 발효

해당과정에서 생성된 NADH의 전자를 피루브산에 전달한다. 이 반응에서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전환되고, NADH는 NAD+로 산화한다. 이 반응은 포도당이 있는 한 해당과정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동물세포의 경우 근육세포에서 이 과정이 일어나며, 젖산이 혈액을 통해 제거되는 속도보다 생산 속도가 저 빠르면 근육 기능이 저해된다.

1.2. 에탄올 발효

탈카르복시화 반응으로 해당과정의 산물인 피루브산의 말단 CO<sub>2</sub>기를 떼어내어 2-탄소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만든다. 아세트알데히드는 NADH로부터 한 쌍의 전자를 받아 NAD+와 에탄올을 만든다.

에탄올 발효의 대표적 예는 효모가 있으며, 에탄올은 효모에게 독성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탄올 농도가 12% 내외가 되면 죽기 시작한다.

1.3. 아세트산 발효

에탄올을 아세트산으로 산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전자를 전자 전달계를 통해 산소에 전달해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NADH에서 NAD+를 재생성할 때 산소를 이용한다. 산소와 반응하지만 최종 산물이 유기물이므로 발효라고 부른다.

2. 영상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메가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