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 / Joseon
1. 소개 ✎ ⊖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 이후 고려를 멸망시키고 만든 국가다. 1392년에 건국하고 1910년에 망하여 약 500년을 존속했으며, 여기서 이름을 따온 조선왕조 500년이란 사극도 있다.
2. 역사 ✎ ⊖
위화도 회군으로 우왕 폐위 후 창왕, 창왕 폐위 후 공양왕을 거쳐 1392년 공양왕을 폐위하며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 왕조가 건국되었다. 건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1차 왕자의 난이 벌어져 정종에 이어 태종이 즉위하였다. 그리고 태종 다음 유명한 세종대왕이 즉위하며 한글 개발, 장영실과 같은 인재 등용, 농서 편찬 등으로 전성기를 맞이한다.
세종에 이어 문종이 즉위했으냐 건강 악화로 약 2년만에 사망하였다. 단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세조가 되었다. 세조는 집현전 폐지 등 실책과 치적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았다. 세조 사망 후 예종이 즉위했으나 1년만에 사망하고 성종이 즉위했으며, 성종 다음으로 즉위한 것이 유명한 연산군이다. 연산군은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었고 중종이 즉위하였다.
중종 때 조광조가 개혁을 주도하다 기묘사화가 일어나며 사망했으나, 사림파들은 계속 힘을 키우고 사화를 이겨내며 조선 정치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반상 구별, 군사, 과학기술 천시, 남존여비 강화 등이 이뤄졌다. 중종에 이어 인종과 명종이 즉위했으며, 이황과 이이가 등장하면서 성리학이 크게 발전하였으나 동시에 동인과 서인으로 붕당의 당쟁도 생겼다. 동시기 일본은
센고쿠 시대를 보내며 조총과 같은 신무기가 도입되면서 군사력이 크게 늘어났고, 이는 임진왜란의 초기 전세를 짐작하게끔 만들었다.
선조 즉위 후 임진왜란이 일어났으나 명나라의 지원, 의병 거병, 이순신이라는 명장의 활약으로 정유재란까지 이어진 7년간의 전쟁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종결되었다. 그러나 왜란 종결 후에도
재조지은에 중시하여 명나라 사대와 청나라 괄시가 이어졌고, 이는 광해군 폐위 후 인조가 즉위하면서
정묘호란,
병자호란이 일어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삼전도의 굴욕 후 인조에 이어 효종이 즉위하였으며, 북벌을 추진하다가 종기, 정확히는 의료사고로 사망하였다.
효종의 뒤로 현종이 즉위했는데, 그의 집권기에
예송논쟁과
경신대기근이 일어났다. 이것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지 현종은 단명했고, 숙종이 즉위한다. 이 시기에 유명한 인물로 송시열이 있다. 숙종이 40년 이상 재위한 것에 비해 그 뒤의 경종은 약 4년밖에 재위 하지 못하고 사망했으며, 그 다음으로 영조, 정조가 즉위한다. 탕평책이 펼쳐지고 5일장, 화폐 통용 등 상업 활성화, 서민 문화 발달 등으로 조선은 중흥기를 맞이한다. 김홍도, 신윤복 같은 유명한 화가가 활동한 것도 이 때이며, 장용영 조직, 규장각 부활, 수원 화성 건설도 이뤄졌다.
정조후 순조, 철종이 즉위하며 19세기가 열렸으나, 세도 정치, 삼정의 문란으로 난세가 펼쳐졌다. 이에 고종이 즉위하면서 흥선대원군이 집권해 서원 철폐, 호포제 실시 등 개혁을 주도했으나 천주교 탄압과 함께 척화비로 대표되는 통상 거부로 서양 문물 도입은 이뤄지지 못했다. 그 전에
병인양요,
신미양요가 일어난 것도 있지만서도… 그 뒤 최익현의 상소로 대원군이 실각하면서 고종이 친정을 시작했으나,
여흥 민씨에 휘둘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런 상태에서 지지부진한 근대화는 결국
가쓰라-태프트 밀약에 힘입어 일본이
을사조약과
경술국치로 조선-대한제국을 멸망시키도록 만들었다.
세종에 이어 문종이 즉위했으냐 건강 악화로 약 2년만에 사망하였다. 단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수양대군이
중종 때 조광조가 개혁을 주도하다 기묘사화가 일어나며 사망했으나, 사림파들은 계속 힘을 키우고 사화를 이겨내며 조선 정치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반상 구별, 군사, 과학기술 천시, 남존여비 강화 등이 이뤄졌다. 중종에 이어 인종과 명종이 즉위했으며, 이황과 이이가 등장하면서 성리학이 크게 발전하였으나 동시에 동인과 서인으로 붕당의 당쟁도 생겼다. 동시기 일본은
선조 즉위 후 임진왜란이 일어났으나 명나라의 지원, 의병 거병, 이순신이라는 명장의 활약으로 정유재란까지 이어진 7년간의 전쟁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종결되었다. 그러나 왜란 종결 후에도
효종의 뒤로 현종이 즉위했는데, 그의 집권기에
정조후 순조, 철종이 즉위하며 19세기가 열렸으나, 세도 정치, 삼정의 문란으로 난세가 펼쳐졌다. 이에 고종이 즉위하면서 흥선대원군이 집권해 서원 철폐, 호포제 실시 등 개혁을 주도했으나 천주교 탄압과 함께 척화비로 대표되는 통상 거부로 서양 문물 도입은 이뤄지지 못했다. 그 전에
이런 상태에서 지지부진한 근대화는 결국
3. 신분제 ✎ ⊖
고려에 비해 노비와 같은 신분제가 강화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이는 통치 이념이었던 성리학의 명분론이나 리일분수(특히 이황에 의해)(1)과 무관치 않으며, 조광조 등의 발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신분제가 완전히 철폐된 것은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서였다. 특히 노비가 아닌 양인 중에서도 신량역천은 각종 차별에 시달렸다.(2)(3)